라쇼몽 羅生門 1950

라쇼몽 羅生門 1950

라쇼몽 羅生門 1950

라쇼몽 羅生門 1950

파고 Fargo 1996

마사코는 타조마루에게 겁탈을 당한 자신을 남편은 경멸의 눈초리로 노려보았고, 억울한 나머지 제정신이 아닌 상태에서 남편을 죽였다고 진술한다.

죽은 타케히로는 겁탈을 당한 후 타조마루에게 넘어간 아내가 자신을 죽이려 하였고,

오히려 타조마루가 자신을 옹호해 준 것에 비참함을 느껴 자결했다고 진술한다. 그리고 나무꾼의 진술에 의하면, 마사코는 타조마루를 받아들였고,

타조마루와 타케히로는 서로 싸우는 것이 겁이 나 마사코에게 비겁하게 행동했으며,

그러자 마사코가 두 남자를 부추겨서 서로 싸우게 했고, 두 남자는 정정당당히 남자답게 싸웠다는

타조마루의 진술과는 달리 용렬하기 짝이 없는 개싸움을 벌였고, 이 와중에 타조히로가 얼떨결에 타케히로를 죽였다는 것이다.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은 ‘라쇼몽’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인간은 자기 자신에 대해 정직할 수가 없다.

자기 자신을 이야기할 때면 언제나 윤색해진다.

‘라쇼몽’은 자신을 실제보다 더 나은 사람으로 보이기 위해 거짓말을 하지 않고는 못 배기는 인간을 그리고 있다.

인간의 이기심은 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죄악이다.

같은 사건을 두고 각각의 개인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진술을 하기 때문에 인간사에서 진실이라는 것은 어쩌면 영원히 찾을 수 없는 것인지도 모른다.

‘라쇼몽’은 인간은 기억하고 싶은 것만 기억한다는 기억의 주관성에 관한 이론인 라쇼몽 효과(Rashomon Effect)라는 용어까지 만들어냈다. ‘라쇼몽’에서 승려가 말한다.

“인간은 약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약하기 때문에 거짓말을 하는 겁니다. 약하기 때문에 자기 자신까지 속이는 겁니다.”

네 명의 진술 중 사건에 직접적으로 연루되지 않고 사건을 목격하기만 한 나무꾼의 진술이 가장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나무꾼의 진술이 사실이라면, 허세가 있는 타조마루는 남자다움을 과시하고 자신의 비겁했던 행동들을 숨기기 위해서,

그리고 자신의 죄를 가볍게 보이기 위해서 타케히로를 정당한 결투 끝에 죽인 것이라고 거짓말을 한 것이다.

마사코는 자신이 남편을 죽였다고 하면서까지 자신의 부도덕함을 숨기고, 자신이 지조 있는 여자로 보이기 위해서 거짓말을 한 것이다.

죽은 타케히로는 타조마루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비겁했던 행동들을 숨기기 위해서,

그리고 자신을 배신한 아내에 대한 분노로 인해, 아내가 자신을 죽이려 하였고, 그래서 자결했다고 거짓말을 한 것이다.

하지만 나무꾼의 진술을 들은 평민이 사건 현장에서 사라진 마사코의 값비싼 단도를 나무꾼이 훔쳤기 때문에

나무꾼의 진술도 거짓말이라고 하자 나무꾼은 아무런 대꾸도 하지 않는다. 이로써 사건에 대한 진실은 더 이상 찾을 수 없게 된다.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은 관객들에게 인간이 이기적인 존재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선한 존재라는 믿음을 애써 주기 위해서 다소 억지스럽게 영화를 마무리한다.

‘라쇼몽’은 라쇼몽의 한구석에서 발견된 버려진 아기를 자신이 키우는 것으로 속죄를 하겠다는 나무꾼을 통해 인간에 대한 믿음을 버리지 않는다.

‘라쇼몽’은 관객들에게 영화의 이야기만큼이나 기발하고 창조적인 영상들을 보여 준다.

타조마루와 마사코, 죽은 타케히로의 진술을 듣는 관청의 재판관은 화면에 등장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말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