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벌케이드

캐벌케이드 (Cavalcade, 1933)

캐벌케이드 (Cavalcade, 1933)

캐벌케이드 (Cavalcade, 1933)

샤이닝 (The Shining, 1980)

아카데미 시상식 초기에 작품상을 수상한 영화들을 보면,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다운 영화의 작품성을 갖춘 영화들은 몇 안 된다.

게다가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다운 영화의 작품성을 갖춘 영화들과 그렇지 않은 영화들의 작품성 수준의 차이가 극과 극이다.

루이스 마일스톤 감독의 ‘서부 전선 이상 없다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1930)’와,

프랭크 카프라 감독의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It Happened One Night, 1934)’, 프랭크 로이드 감독의

‘바운티호의 반란 (Mutiny on the Bounty, 1935)’과 같은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들은 오늘날에도 명화로 평가 받고 있는 영화들이다.

이 영화들은 오늘날의 관객들이 보아도 전혀 지겹지가 않다.

하지만 첫번째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인 ‘날개 (Wings, 1927)’를 비롯, ‘브로드웨이 멜로디 (The Broadway Melody, 1929)’,

‘시마론 (Cimarron, 1931)’, ‘위대한 지그펠드 (The Great Ziegfeld, 1936)’ 등은 아무리 오래전에

만들어진 영화들이라고는 하지만 오늘날의 관객들에게는 영화를 끝까지 보기조차 힘들 정도로 작품성이 떨어지는 영화들이다.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인 ‘캐벌케이드’도 영화를 끝까지 보기 힘들 정도로 작품성이 떨어지는 영화이다.

‘캐벌케이드’의 감독은 공교롭게도 ‘바운티호의 반란’의 프랭크 로이드 감독인데,

프랭크 로이드 감독은 이 두 영화로 두 개의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캐벌케이드’의 원작은 노엘 카워드의 동명의 희곡이다. ‘캐벌케이드’는 자막을 통해서도 언급이 되지만,

격랑의 20세기 초를 겪어나가는 한 영국 상류 가정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캐벌케이드”는 (기마) 행진 또는 자동차 행렬을 의미하는데, ‘캐벌케이드’에서는 20세기로의 시대의 흐름을

“캐벌케이드”에 비유하고 있다.

“New Year’s Eve our London family, …, awaits the headlong cavalcade of the Twentieth Century

(새해 전날 밤 우리의 런던 가족은, …, 20세기의 저돌적인 행진을 기다리고 있다)”

‘캐벌케이드’의 이야기는 20세기를 하루 앞둔 1899년의 마지막 날을 배경으로 시작한다.

영국 상류 가정의 제인 매리엇(Diana Wynyard)은 남편 로버트 매리엇(Clive Brook)과,

두 아들 에드워드(Dick Henderson, Jr.)와 조이(Douglas Scott), 그리고 하녀인 엘런 브리지스(Una O’Connor)와,

엘런 브리지스의 남편 알프레드 브리지스(Herbert Mundin)와 함께 축배를 들며 20세기를 맞이한다.

‘캐벌케이드’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20세기 초의 역사적인 사건들은 보어 전쟁과,

빅토리아 여왕의 죽음, 타이타닉호의 침몰, 그리고 1차 세계 대전이다.

제인은 보어 전쟁으로 남편 로버트 매리엇과 잠시동안 이별을 하게 되고,

타이타닉호의 침몰로 마가렛 해리스(Irene Browne)의 딸인 에디스 해리스(Margaret Lindsay)와

신혼여행 중이던 첫째 아들 에드워드(John Warburton)를 잃는다.

그리고 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쟁에 나간 둘째 아들 조(Frank Lawton)마저 잃고 만다.

‘캐벌케이드’에 보어 전쟁, 빅토리아 여왕의 죽음, 타이타닉호의 침몰, 1차 세계 대전과 같은 20세기 초의

역사적인 사건들과 함께, 영국 사회의 변화를 암시해 주는 이야기도 나온다.

개인적으로 영국 사회의 역사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지만 ‘캐벌케이드’의 전반부를 보면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영국

사회에서 상류와 하류 계급의 구분이 뚜렷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캐벌케이드’의 후반부에 매리엇 일가의 하녀였던 엘런 브리지스가 자신의 딸 화니 브리지스(Ursula Jeans)와

매리엇 일가의 둘째 아들 조의 결혼을 의논하기 위해 제인 매리엇을 찾아가 거드름을

피우는 장면이 나오는데, 바로 20세기의 저돌적인 행진과 함께 영국 계급 사회가 퇴색되어 가고 있음을 암시해 주는 장면이다.

‘캐벌케이드’는 당시의 유행에 따라 영화의 중간 중간에 뮤지컬 영화의 형식을 보여 주기도 한다.

‘캐벌케이드’에서 나오는 노래들 중, 영화의 후반부에 화니 브리지스가 부르는

노엘 카워드의 ‘Twentieth Century Blues’가 ‘캐벌케이드’의 이야기에 가장 잘 어울리는 노래이다.

오늘날의 관객들이 ‘캐벌케이드’의 이야기로부터 무엇인가를 느끼기에는 ‘캐벌케이드’의 작품성이 너무 많이 떨어진다.

하지만 ‘캐벌케이드’의 이야기로부터 굳이 느낄 수 있는 것이 있는데, 옛날이나 지금이나 사람 사는 세상은 어지럽다는 것이다.

21세기의 저돌적인 행진 속에 살고 있는 지금, 우리도 세월호의 침몰이나, IS(이슬람 국가)의 프랑스 파리 테러 사건,

김영삼 전 대통령의 죽음 등과 같은, ‘캐벌케이드’의 매리엇 일가가 겪은 20세기 초의 역사적인 사건들과 비슷한 사건들을 겪고 있다.

우리는 이런 어지러운 세상을 살아 가고 있지만, 세상이 현재만 어지러운 것이 아니라 과거에도 그랬고 미래에도 그럴 것이라는 것이다.

‘캐벌케이드’는 작품상을 포함하여 감독상, 미술상의 3개 부문의 아카데미상을 수상하였다.

제인 매리엇 역의 다이애너 윈야드는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은 하지 못하였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