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지마에서온 편지 Letters from Iwo Jima 2006
이오지마에서온 편지 Letters from Iwo Jima 2006
미국에서 공부를 한 쿠리바야시 장군은 다른 일본인 장교와는 달리, 이성적이고, 합리적이며, 인간적이다. ‘아버지의 깃발’에서
이오지마 섬 해변에 상륙한 미군은 일본군의 저항이 없어 의아해 하는데,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에서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이는 일본군의 전력이 미군에 비해 절대적으로 열세인 상황에서 해안 방어는 무모하다 생각하고,
대신에 미군의 폭격과 포격에 대비해 동굴 안에 진지를 구축하고, 미군이 상륙하기를 기다려 기습 공격을 감행한다는
쿠리바야시 장군의 전략이었다. 그러나 일본군은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스리바치산을 미군에게 빼앗기고 만다.
미군의 계속되는 공격보다도 쿠리바야시 장군을 더욱 어렵게 하는 건 일본의 무사도 정신에 입각한 일본군의 옥쇄와 자살식 공격이다.
스리바치산을 지키지 못한 아다치 대령(Toshi Toda)은 반드시 살아남아 북쪽 동굴의 군대와 합류하라는 쿠리바야시 장군의 명령을 어기고 기어이 자결을 선택하고,
아다치 대령의 쪽지를 전해 받은 타니다 대위(Takumi Bando)도 부하들에게 옥쇄를 강요하고 자결한다.
사이고는 동료들이 수류탄으로 자폭하는 처참한 광경을 목격한다.
스리바치산에서 살아남은 사이고와 시미즈(Ryo Kase)에게 옥쇄를 강요하고,
나중에는 혼자서 폭탄을 안고 용감하게 적지로 뛰어들지만 두려움에 떨며 시체들 사이에서 죽은 척하고 있다가 결국
미군의 포로가 되는 이토 중위(Shido Nakamura)는 비록 비겁해 보이기는 하지만 아다치 대령이나 타니다 대위보다 오히려 인간적으로 보인다.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에서 영화의 주제가 가장 잘 드러나는 장면은 전쟁과 죽음의 공포 속에서 니시 남작(Takeichi Nishi, Tsuyoshi Ihara)이 숨진
미군 포로 샘(Lucas Elliot)이 가지고 있던, 샘의 엄마가 쓴 편지를 부하들에게 읽어 주는 장면이다.
“내가 너에게 했던 말을 기억해라. 항상 옳은 일을 해라. 그것이 옳은 일이니까.
전쟁이 어서 끝나고 네가 무사히 돌아오길 기도하마. 사랑하는 엄마가.”
니시 남작과 그의 부하들은 샘 역시 적이기 이전에 한 가족의 아들이자, 인간이라는 것을 느꼈을 것이다.
그리고 전쟁에서 과연 옳은 일이란 무엇일까라는 의문과 함께 전쟁의 허무도 느꼈을 것이다.
쿠리바야시 장군과 니시 남작은 실제로 이오지마 전투 당시 일본군을 지휘한 실존 인물들이다.
니시 남작은 실제로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에서 쿠리바야시 장군은 자결하기 직전에 사이고에게 아무도 자신을 찾지
못하도록 묻어 달라고 부탁을 하는데, 실제로도 그의 시신을 찾지 못했다고 한다.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는 할리우드에서 만든 영화이지만 대사는 일본어로 되어 있다.
‘아버지의 깃발’과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의 제작에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도 참여하였다.
아이러니한 것은 미국인 영화감독이 일본의 시각으로 만든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가 미국의 시각으로 만든 ‘아버지의 깃발’보다 더 잘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더구나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은 ‘아버지의 깃발’의 연출을 위해 일본군의 자료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를 구상해 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은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에서 채도가 낮은 화면을 이용한
전쟁에 대한 묘사를 통해 관객들에게 일본군들이 느끼는 죽음의 공포, 그리고 전쟁의 비참함과 비인간성을 그대로 전달해 주고 있다.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는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음향효과상의 4개 부문의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라, 아카데미 음향효과상만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