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씨 911 (Fahrenheit 9/11, 2004)
화씨 911 (Fahrenheit 9/11, 2004)
브로큰 플라워 (Broken Flowers, 2005)
‘화씨 911’이란 제목은 책을 금기시하는 디스토피아적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인간의 자율적 사고를 억압하는
전체주의를 비판한 레이 브래드버리의 SF 소설 ‘화씨 451 (Fahrenheit 451)’과, 2001년에 일어났던 9/11 테러 사건을 합성해서 만든 제목이다.
‘화씨 451’은 책의 종이가 불타는 온도를 뜻하는데, ‘화씨 911’의 한 영화 포스터를 보면 “자유가 불타는 온도”라는 문구를 볼 수 있다.
‘화씨 911’은 9/11 테러 사건을 중심으로 조지 W. 부시 대통령에 대한 여러 의혹들을 파헤치고,
국민의 자유를 침해하는 부시 행정부의 정책, 그리고 이라크 전쟁을 비판하는 마이클 무어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화씨 911’은 뉴스 장면과 직접 촬영한 장면 등을 집요하게 편집한 영상과 마이클 무어 감독의 내레이션으로 두 시간 동안 부시 대통령과 그의 측근들을 호되게 깐다.
이러한 공로로 ‘화씨 911’은 칸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화씨 911’은 부정 선거 의혹까지 제기되었던 논란의 2000년 대선 이야기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9/11 테러 사건 당시 플로리다의 한 초등학교에서 두번째 비행기가 세계 무역 센터에 충돌했다는 보고를 받은
이후에도 7분동안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은 채 아이들과 책을 읽고 있는 부시 대통령을 보여준다.
9/11 테러 사건 직후 미국의 모든 공항이 폐쇄되고 모든 여객기의 이륙이 금지된 상황에서 9/11 테러 사건의 배후로 지목된 오사마 빈 라덴의 일가가
포함된 142명의 사우디인들이 아무런 조사도 받지 않고 백악관의 승인 하에 비행기를 타고 미국을 빠져나간 사실을 언급하면서,
부시 대통령 일가와, 빈 라덴 일가, 그리고 사우디 왕가의 유착 관계를 집요하게 파고 든다.
또한 빈 라덴을 잡는다는 명목으로 시작한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이면에 숨겨진 부시 행정부의 또 다른 속셈을 파헤친다.
아프가니스탄 전쟁이 끝나자 기본적인 인권까지 침해하는 “애국법”을 제정하고 국민을 상대로 끊임없이 테러의 위협을 경고하는 상황과는 달리,
정작 미국 국경은 재정 부족으로 인해 허술하게 방치되고 있는 모순을 고발한다.
“그들은 우리를 겁먹게 해서 그들의 진짜 속셈들을 지지하게 만든다.”
이어서 9/11 테러 사건과는 아무런 연관도 없는 이라크를 침공한 부시 대통령과 부시 행정부를 성토한다.
이라크 전선에 파견된 군인들이 직면하는 전쟁의 참상과 비인간적인 현장을 보여주고, 미국 본토에서 이라크 전쟁으로 아들을 잃고 고통 받는 가족을 보여준다.
또한 국군 모집원들이 미국에서 가장 빈곤한 지역만을 찾아 젊은이들에게 입대를 종용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이러한 끔찍한 현실 앞에서 부시 대통령은 참전 군인들의 봉급과 이들 가족에게 주는 보조금을 삭감하거나
퇴역 군인들이 받아야 할 의료 보험과 같은 각종 혜택을 위한 지원금 증액을 반대하고,
기업 경영진들은 이라크 석유와 이라크 재건 사업으로 이윤을 창출할 궁리만 한다.
마이클 무어 감독은 ‘화씨 911’에 직접 출연도 하여 개그를 보여주기도 하는데, 아이스크림 차를 타고 워싱턴을 돌아다니면서 국회 의원들이
읽어 보지도 않고 국회를 통과시킨 “애국법”의 조항을 국회 의원들에게 직접 읽어 주기도 하고,
국회 의원들을 쫓아다니며 그들의 자제들을 입대시켜 이라크에 보내라고 설득하기도 한다.
‘화씨 911’은 미국의 정치와 사회 문제를 다룬 미국 영화이기 때문에 우리와는 상관이 없는 내용의 영화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전쟁의 비극과 사회의 불평등, 거대 자본의 유착 관계, 소외 계층의 희생과 같은 문제는 미국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나라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문제이다.
“조지 오웰은 이렇게 썼다. 전쟁이 일어나지 않는지 일어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승리란 불가능하다.
전쟁은 이기는 것이 아니다. 전쟁은 계속되어야 하는 것이다. 계층 사회는 가난과 무지를 기반으로 유지된다.
이 새로운 변형은 과거이고, 다른 과거는 있을 수가 없다. 원칙적으로 전쟁은 사회를 궁핍한 상태로 두기 위해 계획된다.
전쟁은 지배 집단이 국민을 상대로 벌이는 싸움이며, 전쟁의 목적은 유라시아나 동아시아와 싸워 승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