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도둑 Ladri di Biciclette 1948
자전거 도둑 Ladri di Biciclette 1948
안토니오는 아내 덕에 포스터 붙이는 일을 시작한다. 하지만 안토니오는 자전거를 벽에 세워 두고 일을 하는 사이 자전거를 도둑맞고 만다.
경찰에 신고를 했지만 아무 소용이 없다. 안토니오는 어린 아들 브루노(Enzo Staiola)와 함께 도둑맞은 자전거를 찾기 위해 도시 구석구석을 돌아다닌다.
‘자전거 도둑’은 안토니오가 어린 아들 브루노와 함께 가족의 생계가 걸린 자전거를 찾으러 돌아다니는 이야기를 통해 전쟁 직후 이탈리아 사회에 만연한 실업과 빈곤,
사회적 불평등의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자전거 도둑’은 실업과 빈곤,
사회적 불평등의 사회적 문제들을 작위적인 이야기를 통해 직접적으로 다루거나,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어떠한 주장도 펴지 않는다.
다만 영화를 전개시킬 수 있을 만큼의 최소한의 이야기, 그리고 최대한 일상인들의 삶에 근접한 이야기를 통해 사회적 문제들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고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 불평등의 사회적 문제를 부자들과의 계급 투쟁과 같은 이야기를 통해서가 아니라,
레스토랑 장면에서처럼 지극히 일상적인 이야기를 통해서 드러낸다. 자전거를 훔친 도둑(Vittorio Antonucci)과 아는 사이인 듯한 거지 노인(Giulio Chiari)을 쫓다
놓쳐 버린 안토니오는 자전거 찾기를 거의 포기하고 집으로 가기 전에 브루노에게 피자를 사주기 위해 브루노를 비싼 레스토랑에 데리고 간다.
“피자 먹고 싶니? 가자. 아무리 걱정을 한다고 해도 달라지는 건 없어.” 브루노가 옆 테이블에서 잘 먹고 있는 가족을
쳐다보고 있자 안토니오가 말한다. “저들처럼 먹으려면 한 달에 적어도 백만 리라는 벌어야 해.”
‘자전거 도둑’에서 안토니오를 연기하는 람베르토 마지오라니와, 브루노를 연기하는 엔조 스타이오는 전문 배우가 아닌,
람베르토 마지오라니는 철공소에서 일하던 노동자였으며, 엔조 스타이오는 신문 배달원이었다.
또한 ‘자전거 도둑’은 모든 장면을 야외에서 촬영하여 전쟁 직후 빈곤으로 피폐해진 이탈리아 사회 구석구석을 포착하고 있다.
안토니오와 브루노 부자가 눈물을 흘리며 군중 속으로 사라지는 ‘자전거 도둑’의 마지막 장면은 관객들도 눈물을 흘릴 만큼 애처롭다.
안토니오는 길에서 자전거를 훔친 도둑을 발견하고는 사창가까지 그를 쫓아 간다.
브루노가 경찰을 데리고 오지만 안토니오가 목격을 했다는 것 외에는 도둑이 자전거를 훔쳤다는 증거가 없어 경찰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이제 자전거를 되찾기는 어렵다고 여긴 안토니오는 절망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자전거를 훔칠 유혹에 빠져든다. 안토니오는 브루노를 먼저 집으로 가게 하고 벽에 세워져 있던 자전거를 훔쳐 달아난다.
브루노는 빈곤과 절망으로 결국 자전거 도둑이 되어버린 아버지를 목격한다. 안토니오는 자전거 주인에게 붙잡히고,
우는 브루노를 본 자전거 주인은 안토니오를 풀어 준다. 안토니오는 수치심으로 브루노의 얼굴도 똑바로 쳐다보지 못하고 말없이 눈물만 흘린다.
브루노는 말없이 눈물만 흘리는 아버지의 손을 잡아 준다. 서로 손을 잡은 안토니오와 브루노 부자의 뒷모습이 군중 속으로 사라지면서 영화는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