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멋대로 해라

네 멋대로 해라 (A Bout de Souffle, 1960)

네 멋대로 해라 (A Bout de Souffle, 1960)

네 멋대로 해라 (A Bout de Souffle, 1960)

다이얼 M을 돌려라 (Dial M for Murder, 1954)

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 할리우드에서 시작된, 완전히 새로운 영화 형식과 반체제적 내용을 특징으로 하는

“아메리칸 뉴 시네마(American New Cinema)” 또는 “뉴 할리우드(New Hollywood)” 영화의 시대를 연 아서

펜 감독의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Bonnie and Clyde, 1967)’는 할리우드 영화들은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이전과 이후의 영화들로 구분되어진다라고 할 정도로 할리우드 영화사의 전환점을 마련한 영화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와 “아메리칸 뉴 시네마” 또는 “뉴 할리우드”의 탄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이보다 10년 앞선

1950년대 후반부터 프랑스 영화계의 젊은 영화인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운동인 누벨바그(Nouvelle Vague) – “새로운 물결(New Wave)”이란 뜻이다 – 이다.

장 뤽 고다르 감독의 ‘네 멋대로 해라’는 프랑스 누벨바그를 대표하는 영화이다.

‘네 멋대로 해라’는 프랑스 영화계에서뿐만 아니라 세계 영화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영화인데,

D. W. 그리피스 감독의 ‘국가의 탄생 (The Birth of the Nation, 1914)’과 오슨 웰스 감독의

‘시민 케인 (Citizen Kane, 1941)’에 이어, 세계 영화사의 전환점을 마련한 영화로 평가받고 있다.

누벨바그를 이끈 젊은 영화인들 대부분 – 프랑수아 트뤼포, 클로드 샤브롤, 장 뤽 고다르, 에릭 로메르,

자크 리베트 등 – 은 프랑스의 유명한 영화 잡지인 ‘카예 뒤 시네마 (Cahiers du Cinema)’에 글을 기고하는

평론가로 경력을 시작해서 직접 영화 제작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들은 기존의 안이한 영화 제작

방식을 비판하고 영화 감독의 특성이나 개성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작가주의 영화 제작 방식을 추구하면서 개인적이며 창조적인 영화들을 만들었다.

‘네 멋대로 해라’가 누벨바그를 대표하는 영화답게 누벨바그를 이끈 많은 젊은 영화인들이

‘네 멋대로 해라’의 제작에 참여하였거나, ‘네 멋대로 해라’에 직접 출연하기도 했다.

장 뤽 고다르 감독은 ‘네 멋대로 해라’의 각본을 프랑수아 트뤼포가 신문 기사를 보고 생각해 낸 이야기를 바탕으로 썼다.

클로드 샤브롤은 ‘네 멋대로 해라’에서 기술 고문을 담당하였다. ‘네 멋대로 해라’에서 미셀 포와카르(Jean-Paul Belmondo)를

추적하는 수사관 비탈(Daniel Boulanger)을 연기하는 다니엘 불랑제는 ‘리오에서 온 사나이

(L’homme de Rio, 1964)’로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도 오른 작가이기도 하다. ‘네 멋대로 해라’에서 파트리샤

프랑쉬니(Jean Seberg)가 공항에서 인터뷰를 하는 작가 파블레스코(Jean-Pierre Melville)를 연기하는 장-피에르 멜빌은

누벨바그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필름 누아르 ‘도박꾼 밥 (Bob le Flambeur, 1956)’을 연출한 영화 감독이기도 하다.

장 뤽 고다르 감독 자신은 ‘네 멋대로 해라’에서 미셀을 보고 경찰에 신고하는 밀고자(Jean-Luc Godard)

역으로 영화에 잠깐 출연도 하며, 자크 리베트도 차에 치여 죽는 사람으로 잠깐 출연한다.

‘네 멋대로 해라’의 영어 제목은 ‘Breathless’인데, 프랑스 어 원제목도 “숨이 가쁜”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네 멋대로 해라’의 영화의 형식이나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오히려 ‘네 멋대로 해라’라는 제목이 더 잘 어울린다.

‘네 멋대로 해라’의 영화의 형식은 기존의 영화의 규칙을 무시하고, 영화의 이야기는 사회의 규범을 무시하는 반체제적 내용을 담고 있다.

기존의 영화의 규칙을 따르며 영화를 만들었던 영화 감독들과 사회의 규범을 따르며 살아가는 관객들은 기존의 영화의

규칙을 무시한 장 뤽 고다르 감독과 사회의 규범을 무시하는 ‘네 멋대로 해라’의 주인공인

두 젊은 남녀 미셀과 파트리샤에게 이렇게 말하고 싶을 것이다. “네 멋대로 해라.”

‘네 멋대로 해라’의 여러 새로운 영화 형식 중 가장 유명한 것이 점프 컷(jump cut)이다.

장 뤽 고다르 감독은 ‘네 멋대로 해라’에서 점프 컷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한 예로 미셀이 훔친 컨버터블을

타고 있는 파트리샤의 뒷모습을 보여 주는 장면에서 점프 컷의 사용을 확인할 수 있다.

‘네 멋대로 해라’에서 점프 컷은 어떤 특별한 목적 없이 사용된 듯한 느낌도 주는데, 이는 점프 컷이 의도적이기보다는 우연적으로 탄생한 것이기 때문이다.

장 뤽 고다르 감독은 ‘네 멋대로 해라’의 상영 시간이 너무 길자, 장-피에르 멜빌 감독에게 자문을 구했고,

장-피에르 멜빌 감독은 영화의 이야기 전개를 느리게 만드는 모든 신(scene)을 잘라내라고 제안을 한다.

하지만 장 뤽 고다르 감독은 신이나 숏 전체를 잘라내기보다는 숏 내에서 가위질을 하여 혁신적인 점프 컷을 탄생시켰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