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나잇 카우보이

미드나잇 카우보이 (Midnight Cowboy, 1969)

미드나잇 카우보이 (Midnight Cowboy, 1969)

미드나잇 카우보이 (Midnight Cowboy, 1969)

대부 3 (The Godfather Part III, 1990)

1967년, 아서 펜 감독의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Bonnie and Clyde, 1967)’로 시작된 이른바 “아메리칸 뉴 시네마(American New Cinema)”

또는 “뉴 할리우드(New Hollywood)” 시대는 1969년에 전성기를 맞이한다.

이 해에 뉴 할리우드 시대를 대표하는 수많은 걸작들 – 존 슐레진저 감독의 ‘미드나잇 카우보이’

데니스 호퍼 감독의 ‘이지 라이더 (Easy Rider, 1969)’, 샘 페킨파 감독의 ‘와일드 번치 (The Wild Bunch, 1969)’

조지 로이 힐 감독의 ‘내일을 향해 쏴라 (Butch Cassidy and the Sundance Kid, 1969)’ – 이 쏟아져 나온다.

뉴 할리우드 영화들은 기존의 영화들이 표현하지 못했던 “폭력과 섹스”에 대한 사실적이고도 대담한 표현과 함께

기성세대와 현실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고 나아가서는 사회의 권위에 반항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그래서 뉴 할리우드 영화들의 대부분은 영화의 이야기나 분위기가 굉장히 어둡고 비관적이다.

‘미드나잇 카우보이’는 뉴 할리우드 영화들 중에서도 가장 어두운 뉴 할리우드 영화가 아닐까 생각되는데

밑바닥 인생을 사는 두 젊은이의 관점에서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굉장히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또한 ‘미드나잇 카우보이’는 성에 대한 표현이 대담함을 넘어 거의 충격적인데

개봉 당시에 지금은 포르노 영화에 사용하는 등급인 X 등급을 받았던 영화이다 – 후에 R 등급으로 변경되었다.

‘미드나잇 카우보이’는 작품상과 감독상, 각색상의 3개 부문의 아카데미상을 수상하는데

아카데미 시상식 역사상 X 등급의 영화가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유일한 영화이다.

“I’m walkin’ here! I’m walkin’ here!” (내가 걸어가고 있는 거 안 보여?)

‘미드나잇 카우보이’의 두 주인공은 남창과 사기꾼이다 – 영화의 제목이기도 한 “미드나잇 카우보이”가 사기꾼, 매춘부, 남창이라는 뜻의 미국 속어이다.

텍사스 촌뜨기 조 벅(Jon Voight)은 자신의 남성적 매력을 부유한 여자들에게 팔아 큰돈을 벌 생각으로 접시 닦는 일을 그만두고 무작정 뉴욕시로 가는 버스에 오른다.

하지만 정신을 잃은 사람이 길바닥에 쓰러져 있어도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 냉정하고 각박한

뉴욕시는 조 벅과 같은 순진한 시골 청년이 바라는 대로 되는 그런 호락호락한 곳이 아니었다.

조 벅은 펜트하우스에서 사는 캐스(Sylvia Miles)라는 타락해 보이는 여자를 첫번째 손님으로 받지만

캐스에게 오히려 돈을 뜯기고 만다. 더군다나 바에서 우연히 만난 랏소(Dustin Hoffman)라는 사기꾼에게 사기까지 당하게 되고

돈이 궁해진 조 벅은 학생으로 보이는 동성애자(Bob Balaban)를 두번째 손님으로 받지만

이 동성애자 학생은 서비스(?)를 다 받고 나서야 자신에게는 돈 한 푼 없다는 소리만 한다.

다음날 아침, 조 벅은 사기 당한 돈을 되찾기 위해 그렇게 찾아 다녔던 랏소를 또다시 우연히 만나게 된다.

랏소를 혼 내 주려고 그렇게 별렀던 조 벅은 절름발이에다 폐병 환자인

그리고 철거 직전의 건물에서 하루하루를 버티며 살고 있는 랏소에게 오히려 연민을 느낀다.

결국 두 사람 사이에 묘한 우정이 싹트고, 두 사람은 서로를 의지하며 같이 지내게 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